카테고리 없음
식물 약용
실수에서찾는중
2023. 10. 20. 10:08
- 우리나라를 포함한 온대지방 식물의 잎의 크기는 열대지방의 것보다 작다. 왜?
커다란 사이즈의 입을 달면은 에너지를 더 많이 사용한다. 에너지를 아껴서 본래의 본성 종자 생산, 종자 번식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에너지를 사용하게 됩니다 - 대부분의 식물 잎에는 자루를 갖고 있다. 잎자루는 왜 필요하며 어떤 기능을 할까?
자루를 달아서 잎을 잘 흔들려고 한다. - 잎은 바람에 흔들린다, 왜 흔들리며 어떤 비밀이 숨어 있을까?
바람에 의해서 잎이 흔들려야 잎 뒤에 기공이 있다. 기공을 통해서 광합성 과정의 산물인 산소도 배출하고, 물도 배출하고
이런 광합성의 산물들을 배출할 때 바람이 없으면 기공에서 포화된 상태로 정체가 일어납니다. - 식물 대부분의 꽃은 대칭 또는 방사대칭이다. 어떤 기능을 갖을까?
매개하는 동물들과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서 , 균형 잡기 위해서 - 식물 줄기는 탄력성이 뛰어나다, 어떤 비밀이 숨어 있을까?
줄기는 표피조직, 기본조직, 관다발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표피조직은 줄기의 외부 표면을 덮고 있으며, 기본조직은 유조직을 포함하고 있어 광합성을 하거나 표피 바로 밑에 위치한 후각세포나 관다발 내부의 후벽세포를 통해 줄기를 강화 시켜 식물체를 지탱합니다. 관다발조직은 물관과 체관을 포함하고 있어 식물체 내에서 장거리 물질수송을 담당합니다. - 식물체는 물관을 통해 물을 줄기 끝까지 이동 시킨다. 기계적 동력 없이 어떻게 그 높은 곳까지 이동 시킬 수 있을까?
물의 응집력: 물 분자는 수소 결합에 의해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있습니다. 이 힘은 물관 속에서 물기둥을 형성하고, 잎에서 증산되는 물의 장력에 의해 상승합니다. 이를 응집력설이라고 합니다1.
증산 작용: 잎에서는 기공을 통해 수증기가 공기 중으로 나갑니다. 이 때, 잎의 수분 퍼텐셜이 줄기나 뿌리보다 낮아지므로, 수분 퍼텐셜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이 이동합니다. 즉, 줄기와 뿌리에서 잎으로 물이 올라가게 됩니다23.
삼투압: 흙 속의 물은 흙보다 뿌리의 이온 농도가 높으므로, 삼투현상에 의해 뿌리털의 세포막을 통해 뿌리 속으로 들어갑니다. 이 때, 세포막은 수분은 통과시키지만 이온은 막아서, 세포 내부의 압력이 증가합니다. 이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합니다 - 식물 뿌리의 형태적 변화는 지상부의 형태적 다양성에 비해 매우 단순하다. 왜?
땅 위의 생태계는 변화 무쌍하다. 기후 변화, 그런 것들을 온전하게 전부 영향을 받는게 지상부,
반대로 땅 속 세상은 안정된 생태계 이다. - 겉뿌리는 내생적 발생을 한다. 어떤 비밀이 있을까?
주로 식물의 지상 부분에서 발생한다. 겉뿌리는 식물이 물이나 영양분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돕는다. 물이 쉽게 빠져나가는 곳에 겉뿌리로 물을 최대한 흡수 하는 것이다. - 초본은 왜 길이 생장만 할까?
부피생장은 겨울에 지상부가 살아남아서 이듬해에 또 자라서 부피 증대를 해야 하는데 초본은 겨울에 살수가 없음
길이 생장을 한다는 것은 정당 분열 조직이 줄기 꼭대기에 있다는 뜻, 정당 분열 조직 위에 생장점이 있다. - 외동립 식물의 잎의 뒷면에 기공들 생김새가 다르다
쌍자엽에서는 둥근 형태, 단자엽 즉 외떡잎 식물에서는 길쭉하게 분포한다.
쌍자엽 식물의 특징 망상맥 =그물맥, 단자엽 외떡잎 식물은 평행맥
구조상 맥과 맥 사이에 기공이 생겨 형태가 이렇게 형성됨 - 외떡잎과 쌍떡잎의 차이점
쌍떡잎 식물은 유관 속 조직인 환 원형으로 연결이 됨 그래서 환상 이라고 부름
외떡잎 식물은 유관 속 조직이 아무렇게나 분포한다. - 지하경과 마디의 차이점
쌍자엽 식물(쌍떡잎) | 단자엽 식물(외떡잎) | |
자엽 | 2개 | 1개 |
줄기의 유관속 | 환상배열 | 산재 배열(중구난방) |
입맥 | 망상맥 | 평행맥 |
꽃 부분 | 4-5수성 | 3수성 |
꽃가루의 발아구 | 3개 | 1개 |
- 부피생장 = 이기생장
- 나이테는 물관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체관은 쌓이지 않는다. - 피자식물은 중복수정을 한다.
- 화서: 꽃들이 모여서 어떤 모양을 만들어내는 것
- 육상식물 공통점: 광합성을 한다.
- 줄기의 3대 요소: 잎, 마디, 눈
- 피자식물과 나자 식물의 차이점
피자식물은 중복 수정, 나자 식물은 단일 수정 - 뿌리털: 내려가는 물을 일시에 흡수 할 수 있는 기능
- 횡맥: 맥과 맥 사이에 연결
- 수생식물 잎들 안에는 공기층이 있다.
- 별모양의 보강조직 (수생 식물에 많이 관찰됨)
- 보호층이 작동해서 다른 공기중의 바이러스및 미생물의 공격을 보호한다.
- 초본과 목본의 차이점
기후,
초본: 겨울철에 지상부 땅위에 나와 있는 줄기를 볼수 없는것
목본: 겨울에도 지상부가 살아있는 것을 목본
초본 | 유배식물 | 선태 | ||||||
목본 | 교목 | 관속식물 | 양치 | |||||
관목 | 피자 | 쌍떡잎 | 외떡잎 | |||||
나자 | 속씨식물 | |||||||
겉씨식물 | ||||||||
목본
- 교목: 나무 수강 줄기에 밑에 부분에 죽은 가지가 생긱는 것
- 관목: 나무의 줄기가 여러 개가 발달하는 것
1년생 초본: 1년 밖에 못삼
단연생초본: 여러해 삶
- 염성식물: 생존 연원이 정해져 있는 것
소나무속: 식물에서 플렌입자(웅성배우자체)발달